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ulk-safe trigger
- 웹 스코프
- trigger handler pattern
- react
- 컴포넌트 스캔
- maven gradle
- salesforce 트리거
- Spring
- Scpoe bean
- Java
- 트리거 리팩토링
- governor limit
- salesforce
- 스프링부트
- salesforce 개발
- apex 설계
- trigger 패턴
- 프로토타입빈
- salesforce 실무회고
- CRUD
- DI
- springboot
- 싱글톤빈
- 스프링
- salesforce trigger 구조
- 빌드관리
- 트리거 구조
- apex trigger
- 스코프 빈
- salesforce trigger
- Today
- Total
목록Java (2)
Salesforce 실전 개발 노트

접근 제한자(지정자)란?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는 말 그대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여기서 접근이란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멤버의 접근을 말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객체 생성을 막기 위해 생성자를 호출하지 못하게 하거나 필드나 메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접근 제한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접근 제한자는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와 같이 네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public : 단어 뜻 그대로 외부 클래스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tected : 상속받은 클래스 또는 같은 패키..

스스로 공부하기 스택(Stack) 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쌓다', '더미'라는 뜻이 있습니다. 스택을 흔히 후입 선출(선출 후입), LIFO라고 부르는데 쉽게 설명하자면 아래가 막힌 어떤 물체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쓰레기통, 마트용 음료수 진열대 등 이러한 것이 스택 구조입니다. 즉 한쪽 끝에서만 자료(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형식의 자료 구조입니다. 스택을 실제 개발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버튼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Stack은 데이터를 쌓는 형식으로 저장하는데 따라서 조회, 추가, 삭제 모두 가장 위에 있는 즉 가장 최근의 값에서 이루어진다. 스택 구조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데이터를 Top이라고 한다. Stack의 특징 LIFO (Last ..